윈도우를 이용하던 리눅스를 이용하던 압축파일은 자주 접하게 된다. 하지만 리눅스 환경에서 한글로 구성된 제목을 이루고 있는 파일들의 경우 압축을 하제할 경우 문자가 이상하게 나타난다.
이 문제는 문자의 인코딩과 관련한 문제로 한글의 특수한 구조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자열을 직접 지정해주면 된다.
일반적인 zip 파일의 압축 하제를 위해서는 unzip 명령어를 이용한다.
$ unzip [파일명]
여기에 문자 인코딩을 직접 지정하면
$unzip -O [인코딩] [파일명] ==> $unzip -O cp949 ???.zip
위의 방법을 이용하면 한글의 깨짐 없이 무사히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자열 인코딩 종류를 일일이 지정하는 방법은 번거롭다. 그리고 명령어에서 인코딩 종류를 지정하는 방식은 터미널을 통한 과정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이런 불편함들은 profile을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다.
$ sudo -s or $ su -
profile 파일을 에디터를 통해 오픈한다.
# vi /etc/profile or # gedit /etc/profile
파일의 마지막 줄에 다음의 문자열들을 추가한다.
export UNZIP="-O cp949"
export ZIPINFO="-O cp949"
이제 재부팅하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통해서 압축을 해제해도 한글이 깨지지 않게 될 것이다.
open source/linux
우분투,민트(리눅스)에서 zip 파일 압축 해제시 한글 깨짐 문제 해결 방법
vhrms
2013. 10. 7. 01:5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