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P (Cat5e/Cat6)케이블 차이에 따른 속도 차이 테스트결과
1. 테스트 환경
서버 사양 |
클라이언트 사양 |
PC : Pentium G630, Win8.1 64Bit, 4GB RAM,WD 500GB HDD(WD5000AAKX) 랜카드 : RTL8167 Giga-LAN (On-Board) |
PC : Intel E5200, Win 7 64Bit, 4GB RAM, WD 320GB HDD(WD3200AAJS) 랜카드 :: RTL8168D/8111 Giga-LAN (On-Board) |
공유기 : IP TIME X5007 |
|
사용 프로그램 : Iperf ver2.0.5.2, FileZilla Server version 0.9.43 b |
2. Bandwidth [높을수록 우수, 단위 Mbits/sec]
3. FTP이용 파일(650MB/1GB/2GB)전송 테스트 [낮을수록 우수, 단위 초]
Cat 5e 케이블 |
Cat 6 케이블 |
20:46:08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0:46:20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2 |
20:59:14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0:59:26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2 |
20:46:25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0:46:43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8 |
20:59:29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0:59:47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8 |
20:46:46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0:47:22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36 |
20:59:49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1:00:25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36 |
20:47:53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0:48:03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0 |
21:00:33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1:00:46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3 |
20:48:05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0:48:22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7 |
21:00:47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1:01:05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8 |
20:48:25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0:49:03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36 |
21:01:08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1:01:44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25 |
20:49:09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0:49:22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3 |
21:05:09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650MB.zip" 21:05:21 - Successfully transferred "/ /650MB.zip" 12 |
20:49:26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0:49:44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8 |
21:05:22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1TB.zip" 21:05:40 - Successfully transferred "/ /1TB.zip" 18 |
20:49:47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0:50:24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37 |
21:05:42 - Opening data channel for file download from server of "/ /2GB.zip" 21:06:18 - Successfully transferred "/ /2GB.zip" 36 |
3회 평균 : 21.88889 |
3회 평균 : 20.88889 |
4. 결론
케이블 차이에 따른 속도차이는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커뮤니티에 보다 정확한 내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댓글내용도 아주 유익합니다.
http://2cpu.co.kr/lec/2137
짧은 내용이지만, 팁 게시판이 따로 없기 때문에 강좌 게시판에 남겨봅니다.
가정이나 작은 건물 내에서 기가빗 망을 구성하기 위해 Cat.5e 케이블을 사용할 것인가,
Cat.6 케이블을 사용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 또한 Cat.5로
깔아놓은 케이블들을 걷어낼 계획을 하면서 무엇이 정답인지를 조사해봤습니다.
Cat.5e도 100m 거리까지 기가빗을 지원하고, Cat.6도 100m 거리까지 기가빗 속도를
지원합니다. 둘 다 10기가는 지원하지 못합니다. 차이점은 전송 방식의 차이에 있습니다.
Cat.5e는 1000Base-T 방식으로 기가빗을 지원하고, Cat.6는 1000Base-T 방식 또는
1000Base-TX 방식으로도 기가빗 속도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1000Base-T 방식은
한개의 pair가 250Mbps full-duplex로 동작하고, 4개의 pair를 모두 사용합니다.
1000Base-TX는 500Mbps full-duplex로 동작하는 2개의 pair를 사용해서 기가빗
속도를 구현합니다.
네트웍 장비를 설계/구현하는 업체에서는 이 두 방식의 차이가 크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1000Base-TX만 쓰기로 결정한다면, 송수신 관련 회로의 복잡도를 훨씬 낮출 수 있을
겁니다. 뭐 그렇긴 한데.. 어떤 독점적인 위치를 가진 업체가 아니라면 이런 결정은 쉽지
않겠지요. 두 방식을 모두 사용 가능한 형태로 설계한다면 1000Base-TX 채택의 의미는
많이 퇴색될 것 같습니다.
하여튼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대부분의 네트웍 장비들은 두 방식을 모두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Cat.5e 케이블을 사용하나, Cat.6 케이블을 사용하나 그 결과는
동일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Cat.6 케이블 하나로 두개의 포트를 연결한다거나 그런
경우는 빼고요) 그렇다면 가격도 조금이나마 저렴하고, 작업성도 좋은 Cat.5e 케이블을
선택하지 않을 이유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 수정합니다 --
아무 근거 없는 예측을 했더니.. 역시나 틀렸습니다. 글 올리고 제가 가지고 있는 허브,
랜카드 등의 스펙을 한번 찾아봤는데, 모두 1000Base-T만 지원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