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2용 Debian Jessie 경량화 img파일을 Win32DiskImager로 파일 복사 후 사용하면 됩니다.
경량화 이미지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접기
Raspberry Pi 2에 Debian Jessie 최소로 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 2에 Raspbian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버전이 wheezy이고, 게다가 원치 않는 프로그램들이 너무 많이 설치되어서 개인적으로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 본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 2에 가벼우면서도 기본적인(?) 패키지들만을 가지고 데비안을 설치하고 토렌트와 미디어 서버로써의 기능만을 세팅하는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1. 라즈베리파이 2에 Debian Jessie 설치하기
(1) 최신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 압축 해제 https://images.collabora.co.uk/rpi2/ 에서 최신판 이미지 파일을 다운 받자. 2015년 9월 21일 현재 'jessie-rpi2-20150705.img.gz'가 가장 최신 버전. 파일을 다운 받은 후에 압축을 풀자. jessie-rpi2-20150705.img
(2) Win32DiskImager로 마이크로sd카드에 설치 http://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에서 실행 파일을 다운 받자. win32diskimager를 실행시켜서 'jessie-rpi2-20150705.img'를 선택하여 sd카드에 설치.
(3) sd카드에 남은 공간 확장하기 데비안을 설치하고 나면 sd카드에 남은 부분이 생기는데, 이 부분을 데비안이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시켜야 한다. 리눅스 컴퓨터에서 gparted를 설치하여 확장시키거나, gparted live cd를 활용하여서 확장시켜야 한다. (설치 직후에 윈도우 컴에 꽂으면 fat32 영역만 몇 십 메가가 뜨는데 잘못된 것이 아니다. 라즈베리파이 2에서 부팅될 수 있도록 일부러 그렇게 된 것이니 gparted 사용 시에 fat32 쪽은 건드리지 않고 데비안이 설치된 부분을 확장시켜서 빈 공간이 없게만 만들면 된다) 여기서 이 부분(gparted 설치 및 실행)까지 설명하면 글이 장황해지므로 하지 않겠다. 윈도우에서는 http://www.partitionwizard.com/download.html 에서MiniTool® Partition Wizard free 버전을 받아서 실행해도 된다. 최초 설치 후에 df -h로 설치 용량을 체크하면 대략 470메가정도 된다. 나머지를 다 설치하고 설정해도 1기가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가벼운 시스템이 된다.
2. Debian Jessie 구동 및 초기 설정 (1) 초기 비밀번호 root 계정의 초기 비밀 번호는 'debian' 이므로 passwd 명령어를 사용하여 바로 자신의 것으로 바꾼다.
(2) repository 수정 # apt-get nano /etc/apt/sources.list 다음 부분을 복사해서 넣고 나머지는 #으로 주석 처리를 하자. deb http://ftp.kr.debian.org/debian jessie main contrib non-free deb-src http://ftp.kr.debain.org/debian jessie main contrib non-free 업데이트를 하자 # 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sudo' 설치 # apt-get install sudo 새로운 유저 추가 및 권한 지정 # adduser USERNAME # visudo 'visudo'를 실행하고 다음 내용을 맨 밑에다가 추가한다. 단, USERNAME은 본인의 로그인 아이디로 변경 (점선은 제외시키고 띄어쓰기 대문자에 주의하자) ---------------------- USERNAME ALL=(ALL) ALL ----------------------
3. 가벼운 윈도우 매니저 설치 먼저 가벼운 데스크탑 디스플레이 매니저 설치 # apt-get install lightdm 가벼운 윈도우 매니저 설치 # apt-get install lxde-core lxtask sd카드 속도에 따라서 설치 시간은 15~20분정도가 소요된다. 재부팅 # reboot
재부팅을 하면 익숙한 로그인 환경이 나타난다
메뉴를 보면 알겠지만 거의 기본만 깔려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4. 기본적인 사용을 위한 세팅 재부팅하면 익숙한 로그인 환경이 나타나며 위에서 추가한 유저로 로그인을 하여 lx terminal을 연다.
(1) 한글 폰트 설치 # sudo apt-get install ttf-unfonts-core
(2) 로케일 설정 #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ko_KR.UTF-8과 en_US.UTF-8만 선택한다.
(3) 시간 설정 일단 지역 설정 먼저 # sudo dpkg-reconfigure tzdata 아시아에서 서울을 찾아 체크하자. 그 후에 시간 설정. # sudo apt-get install ntpdate # sudo ntpdate -u 3.kr.pool.ntp.org
(4) 웹브라우저 설치 가벼운 놈으로 qupzilla 사용 # sudo apt-get install qupzilla
(5) 토렌트 사용을 위해서 deluge 설치 # sudo apt-get install deluge deluged deluge-web
(6) 사운드 카드 설정 일단 root로 로그인하여 alsa-util 설치 및 사운드 카드 로딩 # apt-get install alsa-base alsa-utils # modprobe snd_bcm2835 부팅 시에 사운드 모듈 로딩 # echo snd_bcm2835 >> /etc/modules 소리를 hdmi로 보내고 싶다면 # amixer cset numid=3 2 3.5미리 잭으로 보내고 싶다면 # amixer cset numid=3 1 재부팅 # reboot
(7) plex media server 설치 다음을 차례로 실행한다. # wget -O - https://dev2day.de/pms/dev2day-pms.gpg.key | sudo apt-key add - # echo "deb https://dev2day.de/pms/ jessie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pms.li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plexmediaserver -y 설치 후에 웹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2400 으로 접속하여 화면이 잘 나오면 제대로 설치가 된 것이다.
(8) synaptic 설치 차후에 다른 패키지들을 더 많이 설치하거나 관리를 편하게 하고 싶다면 synaptic을 설치하면 패키지 관리에 편하다. # sudo apt-get install synaptic 설치를 끝내고 top을 실행시켜보면 아이들 시에 cpu 사용량이 거의 제로에 가깝다. 물론 토렌트를 돌리거나 미디어 서버에서 플레이를 하면 사용량이 높아지겠지만 이 정도 가격에 이 정도 수준이면 상당히 만족 스럽다.
----------------------------------------------------------------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