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ntOS 6.3 에 filezilla 설치하기 CentOS

어떤 PC 에서는 yum install filezilla 로 설치가 될때가 있고, 어디서는 안될때가 있다.
이럴때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rpm -ivh http://fedora.mirrors.pair.com/epel/6/i386/epel-release-6-8.noarch.rpm
yum install filezilla


출처 : http://junghun.com/xe/index.php?document_srl=40842&mid=textyle

반응형

 

기존 설치 버전이 영문판 인 경우. ibus 라는 Package를 설치 한다.

 

 

yum install ibus-hangul

yum install ibus-anthy

 

 

설치 후 입력 방식 설정에 보면 한국어, 일본어가 활성화 되어 있다.


출처 : http://blog.whitelife.co.kr/entry/CentOS-%EC%97%90%EC%84%9C-%ED%95%9C%EA%B8%80-%EC%9E%85%EB%A0%A5%ED%95%98%EA%B8%B0





[CentOS 6.3] 데스크탑 한글 환경 구축 Computer Tip

이전의 미니멀에서 데스크탑 구축을 한 다음에는 한글환경을 구축해 봅니다.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은 폰트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나눔폰트를 제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터미널 등에는 나눔폰트코딩을 많이 사용합니다.

우선 터미널을 열어,

# cd Downloads
# wget http://static.campaign.naver.com/0/hangeul/renew/download/NanumFont_TTF.zip
# unzip Nanum*.zip
# mkdir /usr/share/fonts/nanumfont
# mv *.ttf /usr/share/fonts/nanumfont
# wget http://dev.naver.com/frs/download.php/443/ttf-nanum-coding-2.0-2.noarch.rpm
# rpm -i ttf-nanum-coding-2.0-2.noarch.rpm

이렇게 하여 폰트를 설치했습니다.

또한 시스템의 디폴트 한글환경을 지정하기 위하여,
# vi /etc/sysconfig/i18n
LANG="ko_KR.UTF-8"

으로 (기존에 있던 "en_US.UTF-8" 대신) 저장합니다.

다시 로그아웃 했다가,

하단의 언어 선택에서 "Other..."를 선택하고 한국어 OK를 선택했습니다.
(/etc/sysconfig/i18n 에서 디폴트 언어를 "ko_KR.UTF-8"로 설정한 경우에는 위의 gdm 부분을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처음에 이런 폴더를 바꿀거냐 물어보는데 "예전 이름 유지"라고 했습니다.


이제 한글은 잘 보이지만 아직 입력기가 없습니다.
최근 우분투를 포함하여 CentOS도 iBus로 통일되고 있는 느낌입니다.

이를 위하여,

# yum install ibus ibus-hangul ibus-anthy
를 설치합니다.

위와 같이 입력방식을 넣고 "Shift+Space"로 변경하였습니다.
혹시 "IBus 환경 설정"에서 

위와 같이 한국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추가해 줍니다.


# yum install firefox

불여우 브라우저를 설치하고 한글입력 및 브라우징 잘 되었습니다.

출처 : http://mcchae.egloos.com/10937311


반응형
찾아보면 글들이 많은데 제 블로그에 정리차 간단하게 올려봅니다. 제 나름의 정리이므로 반말투인건 양해 바랍니다. 써놓았던걸 붙여넣은 거라 수정하기 귀찮아서 ㅡㅡ;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을 위해 아치리눅스 링크를 올려놓습니다.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Solid_State_Drives

1. Trim 을 활성화 하기 위해 /etc/fstab 을 수정한다. 아래와 같이 discard, noatime 을 추가해 놓는다.

UUID=xxxxxxxxxx /               ext4    discard,noatime,errors=remount-ro 0       1

2. /etc/sysctl.conf 를 수정해서 가급적 스왑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vm.swappiness=1
vm.vfs_cache_pressure=50

를 추가해 넣는다.

3. 저널링 끄기 

tune2fs -O ^has_journal /dev/sdx

/dev/sdx 자리에 저널링을 끌 드라이브를 적어주면 된다.

단, 저널링을 끄면 전반적은 성능은 상승하나 갑작스런 정전과 같은 문제로 인한 비정상종료시에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들어 저널링은 끄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견해도 있으니 참고 바란다.

참고) 
* 수동 트림 방법

우분투에는 수동으로 Trim 을 수행하기 위한 fstrim 명령어가 준비되어 있다.

sudo fstrim -v /

맨 뒤의 '/' 는 루트파티션을 의미하는것인데 아실분은 아실거고(^^) 모르는 분은 그냥 위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시간이 꽤 걸리기도 하니  참을성 있게 기다리길 바란다.


반응형



http://kmaiti.blogspot.kr/2010/11/kernel-panic-not-syncing-attempted-to.html




kernel panic - not syncing: Attempted to kill init!

Error messages during after upgrading the kernel :

----------
mount: could not find filesystem 'dev/root'

setuproot: moving /dev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setuproot: eroor mounting /proc: No such file or directory

setuproot: eroor mounting /sys: No such file or directory

switchroot: mount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Kernel panic - not syncing: Attempted to kill init!
----------

You need to check two important files and these are /etc/fstab and /boot/grub/grub.conf. The first file tells the system to mount the devices to the corresponding directory and second tells the exact location from which kernel will be booted.

So, as an example grub.conf contains :

-------------
#boot=/dev/sda
default=0
timeout=5
splashimage=(hd0,0)/grub/splash.xpm.gz
hiddenmenu
title CentOS (2.6.18-194.3.1.el5PAE)
root (hd0,0)
kernel /vmlinuz-2.6.18-194.3.1.el5PAE ro root=LABEL=/
initrd /initrd-2.6.18-194.3.1.el5PAE.img
title CentOS (2.6.18-164.15.1.el5PAE)
root (hd0,0)
kernel /vmlinuz-2.6.18-164.15.1.el5PAE ro root=LABEL=/
initrd /initrd-2.6.18-164.15.1.el5PAE.img
title CentOS (2.6.18-164.el5PAE)
root (hd0,0)
kernel /vmlinuz-2.6.18-164.el5PAE ro root=LABEL=/
initrd /initrd-2.6.18-164.el5PAE.img
root@server [~]#
-------------

a) The root(hd2,5) is saying Linux where is the boot partition and it means, Third hard disk (the 0 counts and is the first disk) and sixth partition, in that disk. so, it is /dev/sdc6 or /dev/hdc6.
b)The next line is saying where to find the kernel and the root partition.

And in my server /etc/fstab contains :

------------
root@server [~]# cat /etc/fstab
LABEL=/ / ext3 defaults,usrquota 1 1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LABEL=/tmp /tmp ext3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usrquota 1 2
LABEL=/usr /usr ext3 defaults,usrquota 1 2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LABEL=SWAP-sda5 swap swap defaults 0 0
------------

As per the error messages it's clear that file systems has not correctly mounted or entries in that files are wrong. So, you need correct these entries. Please also check following entries in the kernel .config file.

=============
CONFIG_SYSFS_DEPRECATED=y
CONFIG_SYSFS_DEPRECATED_V2=y
=============


Then restart the server. Hope your basic concept will give you clue :)

Try :)

반응형

http://opensea.egloos.com/4291422


xbacklight를 설치하면 되었습니다. 위 링크를 참고 하면 됩니다.

반응형
root@localhost:~# apt-get update
Hit http://ftp.daum.net wheezy Release.gpg
Get:1 http://ftp.daum.net wheezy-updates Release.gpg [1,571 B]                 
Hit http://ftp.daum.net wheezy Release                                         
Hit http://ftp.daum.net wheezy-updates Release                                 
Hit http://ftp.daum.net wheezy/main Sources                                    
E: Release file for http://ftp.daum.net/debian/dists/wheezy-updates/Release is expired (invalid since 15d 15h 22min 54s). Updates for this repository will not be applied.



ftp.daum.net을 ftp.kaist.ac.kr 로 변경하여 해결 하였다. 


소스관리가 안되어져 expire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출처 : http://forums.linuxmint.com/viewtopic.php?f=150&t=102603&start=0



Hello all.

First post. I have been an Ubuntu user for a long time and am now using Linux Mint. On my LAN I use static IP addresses and I usually edit the:

/etc/network/interfaces 

file. When editing I enter the following:

CODE: SELECT ALL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desired static IP address>
netmask 255.255.255.0
gateway <router gateway>

auto eth0



vi /etc/network/interfaces


위 코드를 참고 하면 됩니다.

반응형

find [시작 dir] [문법]



find / -user user1 -exec rm -rf {} \;


위와 같이 입력 한다면 user1의 소유권이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찾아 삭제 하여 버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