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설치 버전이 영문판 인 경우. ibus 라는 Package를 설치 한다.
yum install ibus-hangul
yum install ibus-anthy
설치 후 입력 방식 설정에 보면 한국어, 일본어가 활성화 되어 있다.
출처 : http://blog.whitelife.co.kr/entry/CentOS-%EC%97%90%EC%84%9C-%ED%95%9C%EA%B8%80-%EC%9E%85%EB%A0%A5%ED%95%98%EA%B8%B0
-
작성시간 : 2012/09/16 11:22
-
퍼머링크 : mcchae.egloos.com/10937311
-
작성자 : 지훈현서아빠
-
덧글수 : 10
이전의
미니멀에서 데스크탑 구축을 한 다음에는 한글환경을 구축해 봅니다.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은 폰트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나눔폰트를 제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터미널 등에는 나눔폰트코딩을 많이 사용합니다.
우선 터미널을 열어,
# cd Downloads
# wget http://static.campaign.naver.com/0/hangeul/renew/download/NanumFont_TTF.zip
# unzip Nanum*.zip
# mkdir /usr/share/fonts/nanumfont
# mv *.ttf /usr/share/fonts/nanumfont
# wget http://dev.naver.com/frs/download.php/443/ttf-nanum-coding-2.0-2.noarch.rpm
# rpm -i ttf-nanum-coding-2.0-2.noarch.rpm
이렇게 하여 폰트를 설치했습니다.
또한 시스템의 디폴트 한글환경을 지정하기 위하여,
# vi /etc/sysconfig/i18n
LANG="ko_KR.UTF-8"
으로 (기존에 있던 "en_US.UTF-8" 대신) 저장합니다.
다시 로그아웃 했다가,
하단의 언어 선택에서 "Other..."를 선택하고 한국어 OK를 선택했습니다.
(/etc/sysconfig/i18n 에서 디폴트 언어를 "ko_KR.UTF-8"로 설정한 경우에는 위의 gdm 부분을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처음에 이런 폴더를 바꿀거냐 물어보는데 "예전 이름 유지"라고 했습니다.
이제 한글은 잘 보이지만 아직 입력기가 없습니다.
최근 우분투를 포함하여 CentOS도 iBus로 통일되고 있는 느낌입니다.
이를 위하여,
# yum install ibus ibus-hangul ibus-anthy
를 설치합니다.
위와 같이 입력방식을 넣고 "Shift+Space"로 변경하였습니다.
혹시 "IBus 환경 설정"에서
위와 같이 한국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추가해 줍니다.
# yum install firefox
불여우 브라우저를 설치하고 한글입력 및 브라우징 잘 되었습니다.
출처 : http://mcchae.egloos.com/10937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