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RG to ISO를 이용하면 됩니다.

http://www.nrgtoiso.com/


NRG to ISO

This is a small free utility tool, specifically designed to Nero's NRG image format to standard ISO format. Software will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nrg file is the ISO 9660 image format. 

NRG is a Nero image file format, if you do not have Nero virtual drive, but want to open the nrg file, then this software can actually help you.

ISO is a standard CD image file, general burning software can burn the ISO file system can be installed disc, ISO file generally iso extension, its file format is iso9660.


  • Freeware
  • Portable, can run from a USB memory stick or other portable drive
  • Automatically check nrg image
  • Simple, easy to use

다운로드 


nrgtoiso.zip






사용법은 .. 프로그램 실행하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NRG파일 불러오시고..

ISO 변경저장될 위치 선택하시고..

convert누르시면 끝..





반응형

HP 고객지원 홈페이지에서 HP GAM900장착 노트북 vista지원용 드라이버를 추출한 것입니다.


장치관라지에서 수동으로 업데이트 해주시면됩니다.


HP노트북 사용자의 경우 그냥 HP용 셋업파일로 설치하셔도 됩니다.


관련 어플이 윈도우7을 정식지원하지 않아 호환성 경고가 나타날 수 있으나 무시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7 Ultimate 32bit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습니다.


HP 고객지원 홈페이지에서 다운한 추출전 원본

Intel 915GM Vista Driver (XPDM).exe


추출파일(inf파일 수동 업데이트 하세요)

GMA900 Win7Vista32.zip




반응형













HP 마이크로 서버 N40L에 Windows 2008 R2 Web을 기본 설치 후 VGA, NIC만 설치 후 운영하고 있었다.

N40L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n36l의 사양은 CPU클럭이 낮은거 외 동일한것으로 알고 있다.)

http://h18000.www1.hp.com/products/quickspecs/13716_div/13716_div.html


bios에서는 AHCI로 설정되어져 있었다.


장치관리자에서 IDE관련 드라이버 항목을 보면 standard AHCI driver가 표시되고 있었다.


난 AHCI/RAID가 동일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bios에서 RAID로 변경 후 부팅을 하면 잘될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블루스크린이 떴다..


아마 standard AHCI driver라서 그런가 보다고 생각해서 AMD용 AHCI/RAID x64bit용을 다운로드 했다.

HP홈페이지에 정식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했다.


WHQL_SB8xx_RAID_2K8_3.2.1540.75.zip



그리고 장치관리자에서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면 호환되지 않는거라고 설치가 되지 않는다...-_-


amd.com으로 가서 직접 AMD RS785E/SB820M chipset과 호환되는 레이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했다.


7zip으로 분활 압축했습니다.


12-3_vista_win7_32-64_raid.zip.001


12-3_vista_win7_32-64_raid.zip.002


12-3_vista_win7_32-64_raid.zip.003


12-3_vista_win7_32-64_raid.zip.004


12-3_vista_win7_32-64_raid.zip.005







그리고 설치를 하니 amd raid드라이버는 설치조차 되지 않고 vga,관리 콘솔 같은거만 설치 되더라..


설치시 임시로 압축파일을 해제하는데 기본값이

C:\AMD\Support\12-3_vista_win7_32-64_raid\Packages\Drivers\SBDrv

쯤이 였습니다.


해당 폴더로 이동..





칩셋별로 폴더가 구분되어져 있었는데..


sb8xxx용 w764a (64bit운영체제일 경우)장치관리자에서 수동으로 업데이트..


역시 같은에러..


sb7xxx용 lh64a(레거시 하드웨어용으로 추측)용을 수동으로 업데이트..




어라 성공적으로 불러옴..이때 설치는 하지 않고..



다시 sb8xx용을 불러옴..


불러와짐..-_-



amd는 발로 드라이버 만드나.. 생각을하고..설치..


그리고 bios에서 raid로 변경 후 재 부팅..


부팅이 되었다...


-_-;;


윈도우 클린 설치 시 hp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식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될거 같다...


아래 링크 참고..


http://tshoo.tistory.com/tag/AMD%20RAID%20%EB%93%9C%EB%9D%BC%EC%9D%B4%EB%B2%84

반응형

윈도우 심볼릭 링크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쉽게 만들 수 있다. NTFS 파일 시스템에서 작동되는것으로 보인다. 

현재 윈7 64bit, win 2008 r2에서 테스트하니 잘된다.




아래 링크가 출처 및 다운로드 주소이다. 업데이트가 잘 안되나보다. 설명에 xp지원이 마지막인거 봐서..

하지만 최신 윈도우도 잘된다. ㅋ


http://www.pearlmagik.com/winbolic/



아래를 클릭해서 바로 받을 수 있다.


Winbolic Link 1.0.exe


사용법은 어렵지 않다.

좌측 화면에서 폴더를 선택, 우측 화면에서 폴더를 선택, 아래 name쓰는 곳에 name입력 후 create NTFS juction버튼 클릭


이러면 좌측에 있던 폴더가 우측에 클릭한 폴더의 하위 폴더에 링크가 된다.(심볼릭 링크)


프로그램 쓰지 않고 명령어도 가능하다..

다음 링크 참조..


http://bluedrim.tistory.com/244 

반응형

출처 : http://www.portablefreeware.com/index.php?id=775


다음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다운됩니다.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후 실행하면 트레이에 실행되며 트레이에 실행된 아이콘에 우측 마우스 버튼을 

눌러보면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단축키로 캡쳐하거나 마우스로 선택하여 캑쳐할 수 있습니다.



fscapture.zip


반응형

(노트북 팬 저소음 유지 방법, CPU 클럭(Cpu점유율) 조정방법, CPU 저 소음, 저 발열  설정)


윈도우 vista/ 7 / server 2008 r2 / 8등에서 적용가능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XP 의 경우는 대충 찾아 보니 설정 부분이 안보이는군요..


요즘 CPU성능이 좋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을 할 경우 intel cpu의 경우 speed step 기술이 적용되죠.


하지만 쉽게 cpu의 클럭은 최대클럭을 올라기기 일 수 입니다.


그래서 cpu의 클럭을 그냥 1ghz로 낮추는 방법을 웹으로 찾아보았습니다.


몇몇 유틸이 보였지만 저한테는 잘 안되더군요.


한가지의 대안 방법을 찾았습니다.


바로 윈도우 전원 옵션에서 CPU 전원 관리 기능을 이용하면 되겠더군요.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노트북의 경우 팬이 거의 돌지 않고 저소음 저 발열 환경이 될겁니다.






제어판으로 이동 후 전원 옵션을 oepn합니다.



설정 변경을 클릭



고급 전원 설정 변경을 클릭



최대 프로세스 상태 값을 50%로 설정합니다.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면 cpu는 더 정숙하고 저 발열이 됩니다.

하지만 성능이 느리게 느껴집니다.





반응형

 


윈도우 mstsc를 이용해 원격접속을 하다 간혹 위처럼 작업표시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콘솔로 직접 연결해도 마찮가지고..


근데 web,ftp서비스등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


로그인이 안되는 이유는 explorer.exe 프로세스가 어떤 이유로 종료된것인데..


이때 원격이라면 로그인전 화면에서 화상키보드를 뛰운 후 Ctrl + Shift + ESC 를 누르면 task manager가 실행될것이다.


거기서 File-> New Task를 클릭한 후 explorer.exe를 입력 후 OK를 누르면 된다...





이 문제의 원인은 explorer.exe가 어떠한 이유로 종료 되었다는 건데..


이벤트 로그로 추적해 보거나 바이러스 검사를 해 보는것을 추천...



반응형



위 사진과 같은걸 구매하고자 하는가..?


무려 HDMI에서 video/audio를 tv에 나타내게 해줄것 같이 생겼다..!!


그러나..


그리고 렙탑이나 HDMI출력되는 기타 기기에 연결 후 사용하려고 하는가..


엔간해서는 안된다..


표준 HDMI 규격에서는 Analog출력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고로 저런 케이블(젠더)는 작동되지 않을 확율이 매우 높다..


컨버터를 구매해야 되는것이다...


아래와 같은거..





그럼 대체 저 케이블은 왜 파는걸까..-_-?


비표준 HDMI 특수한 장비에 쓰는거 같다....


자세한건 다음 링크를..



다음글 참고...


http://www.kpug.kr/index.php?page=5&document_srl=905739&mid=reviews

+ Recent posts